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케어

“소득하위 80% 전기료 감면” 몰랐던 신청법과 조건 총정리

by sseul-k 2025. 7. 7.

전기료 감면 제도, 왜 중요한가요?

2025년에도 전기요금 인상 압박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소득하위 8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전기요금 부담을 덜어주는 감면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
특히 고지서에 별도 표시가 없어 몰라서 신청 못 하는 경우가 많아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어떤 제도인가요?

 

항목 내용
제도명 에너지바우처·전기요금 감면 통합 지원
대상 소득하위 80% 이하 가구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복지대상자 등 포함)
내용 매달 전기요금 일부 또는 전액 감면 (계절·지역에 따라 다름)
신청 여부 직접 신청 필요 (자동 감면 아님)
신청처 읍면동 주민센터, 한국전력 고객센터 (☎123)
 

 

감면 대상 조건 (2025년 기준)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신청 가능성이 있습니다: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 차상위계층
  • 장애인 등록자
  • 기초연금 수급 어르신 (일부)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인 가구
  • 에너지바우처 신청자 (중복 가능)

👉 특히, 소득하위 80% 기준은 다음 표를 참고하세요: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80% 월소득 (2025년 기준, 원)
1인 약 1,701,000
2인 약 2,819,000
3인 약 3,639,000
4인 약 4,459,000
 

정확한 소득 계산은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모의계산 가능

신청 방법 안내

📌 오프라인 신청

  •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상담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수급 확인 서류 지참

📌 온라인 신청

감면 내용은 어떻게 되나요?

  • 매월 고정 감면 또는 에너지바우처 포인트 지급
  • 여름(6-8월), 겨울(12-2월)에는 추가 감면
  • 감면 금액: 월 4,000원~16,000원 내외 (가구 형태 및 계절에 따라 다름)
  • 도서산간, 한전 공급 지역 등은 추가지원 가능

 

유의사항

  • 자동 감면 아님! 꼭 신청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한전 고객센터(123) 또는 복지로에서 본인 대상 여부 확인 가능
  • 기존 수급자라도 감면 신청을 별도로 하지 않으면 혜택 없음
  • 에너지바우처전기요금 감면은 중복 지원 가능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혼자 거주하는 어르신 (기초연금 받는 경우)
  • 차상위계층이지만 감면 신청은 안 했던 분
  • 소득이 낮지만 특별한 복지혜택 없이 전기요금 내고 계신 분
  • 자녀가 없고, 조손가정 또는 노부부 가정

 

요즘처럼 전기요금이 올라가는 시기엔 작은 감면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 한 번의 신청으로 여름·겨울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으니, 해당 여부를 꼭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