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케어

고콜레스테롤혈증(Pure Hypercholesterolemia) 원인부터 관리법까지 총정리

by sseul-k 2025. 3. 28.

고콜레스테롤혈증이란? – 질환 개요 및 배경

고콜레스테롤혈증(Pure Hypercholesterolemia)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특히 '순수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중성지방 수치에는 큰 이상이 없으면서 LDL 콜레스테롤(나쁜 콜레스테롤) 수치가 단독으로 높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유전적 요인 또는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증상이 없어도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이 됩니다.

현대인의 식습관 변화와 운동 부족,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40대 이후 중장년층에서 유병률이 높습니다.

순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주요 원인

  1. 유전적 요인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부모로부터 유전된 경우로, 식이 조절만으로는 관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불균형한 식습관
    포화지방이 많은 음식(튀김, 육가공품, 버터 등)을 자주 섭취할 경우 LDL 수치가 상승합니다.
  3. 운동 부족
    신체 활동이 부족하면 HDL 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은 낮아지고 LDL은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호르몬 변화
    특히 폐경기 여성은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해 콜레스테롤 수치가 급격히 올라갈 수 있습니다.

진단 기준과 검사 방법

  • 혈액검사를 통해 총 콜레스테롤, LDL, HDL, 중성지방 수치를 측정합니다.
  • 일반적으로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160mg/dL 이상이면 고콜레스테롤혈증으로 진단됩니다.
  • 공복 상태에서 채혈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관리 및 치료 방법

1. 식이요법

  •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섭취 제한
  • 섬유소가 풍부한 채소, 통곡물 섭취
  •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생선(고등어, 연어) 섭취 권장

2. 운동요법

  • 주 3~5회, 3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 권장
  • 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이 효과적

3. 약물치료

  • 스타틴(Statin) 계열 약물이 가장 일반적
  • 필요 시 에제티미브, PCSK9 억제제 등 병용 치료 가능

※ 약물은 반드시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하며, 정기적인 혈액검사를 통해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고콜레스테롤혈증 vs 고지혈증 – 용어 구분

항목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
정의 LDL 콜레스테롤 수치만 높은 상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모두 상승한 상태
원인 유전, 식습관, 운동 부족 등 과음, 당뇨, 비만 등 포함
주요 위험 심근경색, 협심증 췌장염, 지방간 포함 다양한 합병증

 

이런 분들께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

  • 가족 중 심혈관 질환 이력이 있는 분
  • 정기 건강검진에서 LDL 수치가 높게 나온 분
  • 폐경 이후 콜레스테롤이 갑자기 증가한 중년 여성
  • 운동 부족, 육류 위주의 식생활을 하고 있는 중장년층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증상이 없더라도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조기에 진단하고 생활습관 개선 및 필요한 경우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조용한 건강 위협'입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올바른 관리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세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중성지방 높을 때 대처법과 식단 관리 팁"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반응형